목적
지식 및 기술주도의 21세기에 진입하면서, 치열한 지구촌 경쟁속에서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을 증대하고, 기술 인력의 개방에 따른 국제적 진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견실한 공학교육 기반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또한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개인의 창의력과 기술개발 능력이 사회 및 국가 경쟁력의 척도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급엔지니어의 기능 및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 지고 있으며, 또한 급속한 기술발전에 따라 공학교육의 능동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지방화 및 분권화 정책에 따라 지역대학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지역의 발전을 지속적이고 능동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지역대학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대학들은 지역산업체의 경쟁력제고와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고급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 경제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 국립대학이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배출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대학설립의 중요한 목적이다. 따라서 지역대학들은 대학의 발전방향을 수립할 때 대학 인근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의 발전방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대학 전자공학전공은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경상북도와 경북 북부지역 지방자치단체의 발전방향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의 발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경상북도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은 임베디드SW, 디스플레이, 디지털TV, 차세대반도체, 디지털컨텐츠 등으로 구성된 전자정보기기분야를 지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특성화분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전자정보기기분야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전자산업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우수한 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연구역량을 강화하며 산학협력을 통하여 지역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본 전공의 발전목표로 정하였다.
이에 따라 고급엔지니어의 기능 및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 지고 있으며, 또한 급속한 기술발전에 따라 공학교육의 능동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지방화 및 분권화 정책에 따라 지역대학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지역의 발전을 지속적이고 능동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지역대학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대학들은 지역산업체의 경쟁력제고와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고급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 경제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 국립대학이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배출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대학설립의 중요한 목적이다. 따라서 지역대학들은 대학의 발전방향을 수립할 때 대학 인근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의 발전방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대학 전자공학전공은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경상북도와 경북 북부지역 지방자치단체의 발전방향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의 발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경상북도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은 임베디드SW, 디스플레이, 디지털TV, 차세대반도체, 디지털컨텐츠 등으로 구성된 전자정보기기분야를 지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특성화분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전자정보기기분야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전자산업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우수한 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연구역량을 강화하며 산학협력을 통하여 지역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본 전공의 발전목표로 정하였다.
추진방법
본 전자공학전공은 경북북부지역에 위치한 지역 국립대학으로서 지역의 발전과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지역의 중소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력과 제품개발력을 갖는 인재를 양성한다. 수도권지역의 대학이 대기업을 목표로 한 인재를 양성하는 반면 본 대학과 같은 지역대학은 중소기업위주의 인력양성이 학생들에게 눈높이를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본 전공의 특성화 부분에 대한 이론교육과 설계교육 및 실험실습 교육을 강화하고 인턴쉽 등을 활용하여 현장적응력을 높여 취업 후 바로 현장에서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한다. 이러한 발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위주의 교과목을 확충하고 지역 기업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본 전공의 교과목을 주기적으로 검토하며, 교수들은 산학협력을 통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그 내용을 교과목의 교육내용으로 활용한다.
기대효과
대학 발전에의 기여
- 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직업 교육
- 교과 과정에 산업체의 요구 적극적으로 반영
- 목표지향적인 산학 연계교육 운영
- 취업률의 획기적인 향상
- 졸업자의 재교육
- 경쟁력을 갖춘 대학으로의 발돋움
- 교육 만족도의 개선
- 창의적 학습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코스웨어 구축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 타 대학과의 실무형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및 특성화에 선도적인 역할
- 관련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 및 정보 교환으로 지역 대학의 발전에 기여
- 지역 중소기업 및 고등학교에 실습실 및 장비 개방
- 대학의 대외 경쟁력 강화 및 이미지 향상에 기여
지역혁신 및 지역발전에의 기여
- 지역 혁신 및 분권화로의 선도적 역할 담당
- 지역의 인재 육성을 통해 지방발전에 기여
- 지역인재의 고용기회 확충
- 국토균형발전에 의한 지역산업체 지원
- 평생학습 기반 확장
-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
- 지역 소재 국립대학으로서의 충실한 역할 수행